Advertisement banner image
Advertisement banner image
Image at ../data/upload/5/2621075Image at ../data/upload/3/2621013Image at ../data/upload/8/2620898Image at ../data/upload/3/2620793Image at ../data/upload/9/2620689Image at ../data/upload/5/2620625Image at ../data/upload/0/2620620Image at ../data/upload/8/2620588Image at ../data/upload/1/2620461
Sub Page View
Today Page View: 25,402
Yesterday View: 73,351
30 Days View: 1,316,994

연준 금리 인상(2)

Views : 3,688 2018-09-24 08:40
자유게시판 1274014934
Report List New Post
한국 뉴스

美 연준, 이번 주 금리 또 올릴 듯…신흥국 '위태'

미중 무역전쟁에 미국 금리 인상 겹쳐 경제위기 가중 전망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25∼26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은 경기 둔화와 통화 가치 하락에 시달리는 많은 신흥국에 작지 않은 충격을 줄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블룸버그가 이달 중순 글로벌 이코노미스트 61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57명이 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가 2.00∼2.25%로 0.25%포인트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3명만 동결을 예상했고 1명은 0.5%포인트 인상을 점쳤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서도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확률을 92%(21일 기준)로 관측하고 있다.

미국 장단기 국채 금리 격차가 좁혀지면서 경기후퇴 우려가 고개를 들었지만, 당장의 미국 경제지표가 분명한 호조인 만큼 당장 이번 회의에서는 기준금리 인상이 거의 확실한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미국 실세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신흥시장에는 달갑지 않은 소식이 될 전망이다.

달러지수(DXY)는 지난달 중순 정점보다는 내려왔으나 연중 저점보다는 여전히 6%가량 높고,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2.8%를 돌파해 10년물 금리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신흥시장에서는 이미 취약국가 중심으로 통화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

MSCI 신흥시장 통화지수는 지난 6개월 새 13% 넘게 하락했다.

아르헨티나 페소화 가치는 올해 들어 반 토막 났고 터키 리라화 가치도 40%가량 폭락했다. 브라질 헤알,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 인도 루피, 인도네시아 루피아 등의 가치 역시 급락했다.

이런 불안 때문에 글로벌 투자자들은 신흥시장에서 이탈하고 있다.

이머징마켓포트폴리오리서치(EPFR)에 따르면 지난주(13∼19일)까지 6주 연속으로 신흥국 펀드에서 자금이 순 유출됐다.

자금 이탈뿐 아니라 신흥국들은 달러 표시 부채가 많다는 점에서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에 따른 상환 압박이 커질 우려가 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중국을 포함한 신흥국 부채는 지난해 말 기준 63조 달러로 2007년 21조 달러의 3배로 불어났다. 역내 총생산(GDP)에 대한 부채 비율도 145%에서 210%로 급등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주의에 따른 글로벌 무역전쟁은 신흥국들의 수출에 타격을 주고 물가를 끌어올리는 대형 악재여서 신흥국들의 경제 기반을 송두리째 뒤흔들 것으로 우려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소시에테제네랄 분석가들은 "주기적으로 돌아오는 연준의 긴축 주기가 관세 뉴스 때문에 신흥시장 투자자들에게 물고문이 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신흥국들이 미국을 뒤따라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쉽게 쓰지 못할 만큼 경제여건이 양호하지 못한 상황이라는 점은 큰 문제다.

비교적 펀더멘털이 탄탄한 국가로 꼽히는 한국의 기준금리는 1.50%로 계속 동결되고 있다. 이번 주 연준이 금리를 추가 인상하면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최고 0.75%포인트까지 벌어져 자금유출 우려를 불러올 전망이다.

cherora@yna.co.kr

필리핀 뉴스

Peso to drop ahead of Fed, BSP

THE PESO will likely weaken anew this week due to escalated geopolitical tensions overseas and in anticipation of the possible policy tightening of the local and US central banks.

On Friday, the local unit closed at P54.04 versus the greenback, slightly stronger than the P54.075 finish on Thursday amid some respite from geopolitical tensions.

Week on week, the peso declined from its P53.97 finish on Sept. 14.

Guian Angelo S. Dumalagan, Land Bank of the Philippines chief economist, said the dollar is expected to appreciate this week due to “escalating geopolitical concerns abroad and widespread expectations of another US rate hike on Sept. 27.”

On Monday, he said the dollar might strengthen as investors flock to safer currencies following negative developments on the US-China trade talks as well as uncertainties on the ongoing Brexit negotiations.

Last week, China imposed levies on $60 billion worth of American products in retaliation to the $200-billion tariffs on Chinese goods that will be in effect starting Monday.

A senior White House official said on Friday that Washington is optimistic about finding a way forward in its trade clash with Beijing, although it does not have a scheduled date for further talks, Reuters reported.

“Meanwhile, the EU and the UK have not made significant progress on the Brexit trade deal, with Prime Minister Theresa May saying that ‘no deal is better than a bad deal’,” Mr. Dumalagan added.

The market economist noted the greenback may appreciate again after likely moving sideways on Tuesday and Wednesday “fuelled by possible rate hike of the US Federal Reserve and expectations of more hawkish cues” from Fed officials Jerome Powell and Robert Kaplan.

The Fed is widely expected to raise interest rates this week amid tightening job market and inflation surpassing the 2% target. Another round of tightening is also expected in December, as well as two more next year.

“Of course, if the rates keep on going up in the US, it will put pressure for emerging markets, causing Asian currencies to further depreciate,” a foreign currency trader said in a phone interview on Friday.

On the other hand, the dollar’s ascent might be capped by possible rate hike from the Bangko Sentral ng Pilipinas, which is also widely expected by the market.

In a BusinessWorld poll, at least 15 economists expect the central bank to tighten its policy settings by another 50 bps to temper inflation expectations.

“The policy rate gap between the Philippines and the US is a relevant concern, as it is one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eso’s weakness,” Mr. Dumalagan noted.

Meanwhile, the trader noted that various central banks “seems to be talking and employing a coordinated effort to address the problem.”

“If this becomes the strategy, it will be more effective going forward,” the trader said.

For this week, Mr. Dumalagan expects the peso to move between P53.80 and P54.40 versus the dollar, while the trader gave a P53.87-P53.28 range. — Karl Angelo N. Vidal
질의 중... 30초 정도 걸려요 ...
  본 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Report List New Post
아프리카sos [쪽지 보내기] 2018-09-24 09:42 No. 1274014979
48 포인트 획득. 축하!
미쿡이 이참에 팍팍 오리는군요ᆢ
자국에 득이 되면 팍팍ᆢㅎㅎ
짱개들은 앞으로 살얼음판을 걸어야
할판이네요ᆢㅎㅎ
필 전망은 어두운길에서 나오질 못하고
돈만 팍팍 찍어내는데ᆢ물가가~~~
베네주엘라 꼴 되가나~~^^
아트 시스템 공조
마닐라
카톡africasos4989
Africasos com
gmasifl@네이버-16 [쪽지 보내기] 2018-09-24 10:12 No. 1274014999

@ 아프리카sos 님에게...

26일 연준 금리발표고 한국은 금리 올릴 가능성이 없으니 원화 약세의 가능성은 있습니다. 한국이 금리를 안올릴거라 확신하는 이유는 최근 종부세로 부동산 잡겠다는 뉴스가 나왔기 때문이구요. 금리 올릴거면 종부세 안건드리고도 부동산 잡을 수 있겠죠.

번면 필리핀은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으며 그것도 50bps 즉 0.5%로 껑충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필리핀의 경우 금리인상을 할 여력이 충분한거고, 환율약세만이 아니고 태풍으로 농산물 가격이 지속 오를 가능성이 높아서 두마리 토끼용이겠다 싶구요. 변동금리로 주담대 받은분들은 연이율 7~8%까지 금리가 오를걸 각오하셔야죠.

결론은 이번주 이나라 저나라 금리 다 결정난 후인 다음주 월요일 정도는 새로운 환율 범위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은데요, 필리핀 트레이더가 예상하는 페소범위는 지금과 비슷하다고 보네요. 한국은 중국 따라갈테니 위안화 변화를 보는게 맞고, 결론적으로 1130원 위쪽으로의 약세가 예상되기는 합니다.

그래서 제 결론은 1페소 21원 박스권은 유지될듯요.
자유게시판
필리핀 코로나19 상황
신규 확진자
+502
신규 사망자
새 정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No. 95343
Page 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