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banner image
Advertisement banner image
Image at ../data/upload/5/2626555Image at ../data/upload/5/2626555Image at ../data/upload/5/2626555Image at ../data/upload/5/2626555Image at ../data/upload/5/2626555Image at ../data/upload/8/2626088Image at ../data/upload/6/2624736Image at ../data/upload/7/2622257Image at ../data/upload/8/2621318
Sub Page View
Today Page View: 35
Yesterday View: 143
30 Days View: 3,207
  • 자동 광고를 하시면 필고장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홈페이지, 네이버카페, 네이버블로그, 다음블로그, 구글블로그, 트위터, 티스토리, 소너브(필리핀커뮤니티) 등에 광고가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필고 광고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포털/소셜 100% 등록된다고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 사진과 글을 함께 올리시길 권장합니다. 참고로 사진은 필고에 직접 올리시는 것이 좋습니다.
  • 자동 광고 작성 요령

잡종, 닥쳐 - 다문화가족에게 쏟아지는 말

Views : 1,927 2019-12-12 15:20
광고 자동 등록 1274507213
Report List New Post
9일 서울과 인천에 사는 필리핀 출신 이주 여성 7명이 모였다. 이들은 한국말이 서툴러 시어머니에게 반말했던 일을 떠올리며 웃었다.


전국 다문화가족 157명이 꼽은 '나를 웃기고 울게 한 한국말'

"'엄마는 외국인이니까.' 그 말이 제겐 가장 아픈 한국말이었어요."

필리핀에서 온 이주여성 제니(41)씨는 18세 아들을 위해 매일 뉴스를 보며 한국어를 공부한다. 15년 전 한국에 온 그는 공장 등에서 일하느라 한국어를 제대로 배울 시간이 없었다. 아들은 여느 아이들처럼 한국말을 잘한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엄마에겐 "네" "아니요"란 말만 했다. 이유를 묻자 청천벽력 같은 답이 돌아왔다. "어차피 못 알아듣잖아요."

한국에서 다문화 가정을 이뤄 사는 가족들이 가장 좋아하는 한국말과 싫어하는 한국말은 뭘까. 지난달 25일부터 12월 9일까지 서울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국제다문화사회연구소의 도움을 받아, 서울·인천·부산 등 전국 다문화 가정에 '나를 웃게 한 한국어'와 '나를 울게 한 한국어'를 물었다. 중국·일본·러시아·베트남 등 14국에서 온 157명이 응답했다.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에서 만난 필리핀 출신 이주여성 7명에게도 그 이유를 물었다.

다문화 가족들이 뽑은 '나를 울게 한 말'엔 '잡종' '냄새 난다' '작은 사람' 등 차별의 의미가 밴 말들이 꼽혔다. '너네 나라'도 자주 듣는 "슬픈 말". '돈 벌러 왔니' '불쌍하다'처럼 동정하는 말에도 상처를 받는다고 했다. 그러나 가장 많은 표를 받은 말은 '왜 한국말을 못하느냐'였다. 이 말을 특히 "자녀에게 들을 때 슬프다"고 했다. 필리핀 여성 멜로디 아두란(52)씨는 "한국어를 읽을 줄 몰라 아이들 준비물도 챙겨주지 못했다"며 "아이들이 '엄마는 우리보다 한국에 오래 살고도 왜 한국말을 못하느냐'고 물을 때 가슴이 아팠다"고 했다.

물론 다문화 가족을 웃게 하는 한국말도 많다. '사랑한다'는 말이 '나를 웃게 한 말' 1위로 꼽혔다. 설문에 참여한 29세 중국 여성은 "딸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 가장 행복하다"고 했다. "다른 한국인에게 이 말을 들으면 '상대가 나를 한국 사람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는 이유도 있었다. '친구' '좋은 사람' 등 동질감을 주는 말, '잘했어요' '수고했어요' 같은 말도 좋아하는 한국말로 꼽혔다. 41세 중국 여성은 "한국인들은 칭찬에 인색한데, 이런 말을 들으면 정말로 인정받은 것 같다"고 했다.

이주민들에게 한국어는 삶의 길을 열어주는 소중한 말이다. 필리핀 이주민 전호수(47)씨는 "잘 못할 때 한국어는 세상을 막는 '벽'이었는데, 열심히 배워서 할 줄 알게 된 순간 '길'이 됐다. 그제야 사람들에게 나를 보여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병수 국제다문화사회연구소장은 "한국 사회에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한국어"라며 "이주민들이 가정과 직장에서 우리말로 소통할 수 있게 도와줄 사회적 시스템이 절실하다"고 했다.

출처 : 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2/12/2019121200160.html
  본 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Report List New Post